분류 전체보기1289 [부활절] 고난을 지나 부활의 영광으로 나아가는 믿음의 길 (빌 3:1-21) 유럽 첫 교회, 빌립보와 바울의 사랑 이야기빌립보 교회는 바울이 유럽 대륙에 세운 첫 교회로, 바울의 사역 가운데 가장 친밀한 관계를 가진 공동체였습니다. 로마 시민권을 자랑스러워하던 도시의 성도들에게 바울은 말합니다.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다"(빌 3:20). 그는 이 땅의 특권보다 하늘의 부르심을 더 가치 있게 여겼고, 그 가르침을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간절히 전하고 있습니다.📖 빌립보서 3:20“그러나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부터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육체의 자랑을 버리고, 그리스도를 얻다바울은 자신의 율법적 배경과 혈통, 바리새인으로서의 자부심을 모두 배설물로 여깁니다. 그는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며, 이제는 율법이 아닌 믿음으로 얻는 의를.. 2025. 4. 20. [부활절] 부활의 기쁨에 참여함(빌3:1-21) 🧭 로마 감옥에 갇혀있는 바울이 로마의 시민권이 자랑스러운 빌립보 성도들에게 권면합니다. "성도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부활에 참여해야 합니다." 2025. 4. 20. 2025년 4월 20일 부활절 가정예배 1. 성경본문을 찾아놓습니다. (빌립보서 3장 1-21절)2. 인도자와 대표기도자를 정합니다.3. 이웃을 위해서 찬양은 조용히 부릅니다. 모르는 찬양이면 가사를 보면서 잘 듣습니다.4. 부모님의 지도로 초등학교 성경공부를 온가족이 함께 합니다. 부모님의 지도로 자녀가 함께 읽으세요. 새성실교회 주일 오전 가정교회의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1.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리라"(요한복음 4장 24절)2. 자녀들은 부모님과 성경공부를 먼저 했지요? 아직 안했으면 성경공부를 먼저하겠습니다.3. 대표기도(가족 중 한 명) : 예배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우리 가정을 위해서 함께 기도합니다. 4. 찬양 : "무덤에 머물러(160)" (다같이) 5. 교독문 13.. 2025. 4. 20. 살리는 것은 영이니 – 성경이 말하는 참된 생명과 영성 회복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은 영이요 생명이라”– 요한복음 6장 63절🌱 육의 생명과 영의 생명, 무엇이 다른가?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 운동하고, 건강식을 챙기며, 병원을 찾아 육체의 생명을 유지하려 애씁니다. 하지만 정작 영의 생명에 대해서는 거의 무관심합니다. 성경은 말합니다.“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창세기 2:17) 아담은 선악과를 먹고 바로 죽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영적으로’ 죽었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된 것이죠. 예수님께서 니고데모에게 말씀하신 “거듭나지 않으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다”(요 3:3)는 말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다시 태어나야 합니다. 단지 육으로가 아니라 영으로 말입니다.“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 2025. 4. 18. 2025년 4월 13일 종려주일 가정예배 1. 성경본문을 찾아놓습니다. (스가랴 9장 9-17절)2. 인도자와 대표기도자를 정합니다.3. 이웃을 위해서 찬양은 조용히 부릅니다. 모르는 찬양이면 가사를 보면서 잘 듣습니다.4. 부모님의 지도로 초등학교 성경공부를 온가족이 함께 합니다. 부모님의 지도로 자녀가 함께 읽으세요. 새성실교회 주일 오전 가정교회의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1.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리라"(요한복음 4장 24절)2. 자녀들은 부모님과 성경공부를 먼저 했지요? 아직 안했으면 성경공부를 먼저하겠습니다.3. 대표기도(가족 중 한 명) : 예배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우리 가정을 위해서 함께 기도합니다. 4. 찬양 : "만 입이 내게 있으면(23)" (다같이) 5. 교독문 .. 2025. 4. 13. [종려주일] 구원을 베푸실 왕(슥9:9-17) 🧭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메시야로 평강의 왕으로 오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전쟁은 파괴와 사망이 아닌, 승리는 평화와 자유와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합니다. 2025. 4. 13. 구원을 베푸실 왕(스가랴 9:9-17) ✨서론: 무너진 성전, 그리고 다시 시작된 희망예루살렘이 바벨론에 의해 멸망한 지 70여 년 후, 유다 백성들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러나 그들에게 주어진 첫 과제는 무너진 성전의 재건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건물 복원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즉 신앙의 중심을 다시 세우는 행위였습니다.하지만 공사는 주변 민족들의 방해로 중단되었고, 사람들은 성전보다 자신의 집을 짓는 일에 몰두했습니다. 이때 학개와 스가랴 선지자가 등장해 백성을 책망하고 권면하며 성전 재건의 필요성을 다시 일깨웁니다. 학개 1:2-4“이 성전이 황폐하였거늘 너희가 이 때에 판벽한 집에 거주하는 것이 옳으냐” 📌Chapter 1: 성전 건축, 영으로 되는 일스가랴는 성전 재건을 단순한 건축이 아닌, 하나님의 영으로.. 2025. 4. 12. 2025년 4월 6일 주일가정예배 1. 성경본문을 찾아놓습니다. (갈라디아서 5장 16-26절)2. 인도자와 대표기도자를 정합니다.3. 이웃을 위해서 찬양은 조용히 부릅니다. 모르는 찬양이면 가사를 보면서 잘 듣습니다.4. 부모님의 지도로 초등학교 성경공부를 온가족이 함께 합니다. 부모님의 지도로 자녀가 함께 읽으세요. 새성실교회 주일 오전 가정교회의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1.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리라"(요한복음 4장 24절)2. 자녀들은 부모님과 성경공부를 먼저 했지요? 아직 안했으면 성경공부를 먼저하겠습니다.3. 대표기도(가족 중 한 명) : 예배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우리 가정을 위해서 함께 기도합니다. 4. 찬양 : "아무것도 두려워 말라" (다같이) 5. 교독문 1.. 2025. 4. 6. 육체의 일과 성령의 열매 (갈라디아서 5장 16~26절) 예수를 믿는다고 말하면서도 여전히 믿음의 행동이 일이 되지 않아야 합니다.믿음을 따르는 행위는 일이 아니라 열매가 되어야 합니다. 성령의 열매!! 설교문 요약 : https://visionfactory.tistory.com/1346 2025. 4. 6. 육체의 일과 성령의 열매 (갈5:16-26) 서론갈라디아 교회의 성도들은 복음을 받아들였지만, 개종한 유대인들로부터 율법과 할례를 지켜야 구원받을 수 있다는 혼란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에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았으니, 율법의 종 노릇하지 말고 참된 자유를 누리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갈5:1). 우리는 오늘 본문을 통해 ‘육체의 욕망’과 ‘성령의 열매’라는 두 가지 상반된 삶의 결과물을 살펴보겠습니다.1. 육체의 욕망과 그 결과바울은 갈라디아 교회 성도들에게 성령을 따라 행하라고 권면하며(갈5:16),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른다고 말합니다. 육체의 욕망은 율법의 규례와 연관되며, 결국 죄와 멸망으로 이끕니다. 바울은 구체적으로 육체의 일들을 열거합니다. “육체의 일은 분명하니 곧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우상 숭배와 주술과 .. 2025. 4. 5. 나치 독일 교회에서 배우는 한국교회의 교훈 – 권력과 신앙의 경계를 묻다1. 역사 속 그림자: 독일교회와 나치 정권1930년대 독일, 아돌프 히틀러가 권좌에 오르자 많은 교회들이 그를 지지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독일 그리스도인 운동(German Christian Movement)"을 통해 나치 이념과 기독교 신앙을 결합하려 시도했습니다. 교회는 히틀러를 '하나님의 도구'로 해석했고, 민족주의와 반유대주의에 물들어 구약 성경을 부정하고, 예수의 유대적 배경을 제거하려 했습니다.그 결과는 참혹했습니다. 독일교회는 정치 권력과 결탁함으로써 신학의 본질을 훼손했고, 침묵으로 유대인 학살과 전쟁 범죄에 암묵적으로 가담하게 되었습니다. 전쟁 후, 독일교회는 사회로부터 도덕적 권위를 잃었고, 급격한 교세 감소와 청년 세대의 이탈을 겪었습니다.📌 "하나.. 2025. 4. 4. 참 신앙과 거짓 신앙 (마7:15-29) 🧭 예수님께서 거짓 선지자를 조심하라 하셨습니다. 양의 옷을 입고 있으나 실제는 이리라고 하셨습니다. 겉모습으로 진짜와 가짜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속을 봐야 하는데 속은 열매로 알 수 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열매와 주님께서 좋아하는 열매가 같다면 구분할 수 있습니다. 2025. 3. 30. 이전 1 2 3 4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