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28 언약의 회복과 예배의 자리(출34:18-35) 1. 서론: 언약의 회복과 하나님의 은혜이스라엘 백성들은 금송아지 사건을 통해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렸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언약은 다시 체결되었고, 이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었습니다. 모세는 새 돌판을 가지고 시내산에 올라가 하나님께서 주시는 율법을 받았고,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새로운 시작을 허락하셨습니다. 이 과정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지켜야 할 절기와 예배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너는 신상들을 부어 만들지 말지니라" (출애굽기 34:17)2. 본론: 세 가지 절기와 예배의 자리1) 하나님께 드리는 절기와 초태생의 구별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무교절, 칠칠절, 수장절을 지키라고 명령하셨습니다. 무교절은 애굽에서의 해방을 기억하는 절기이며, 칠칠절과 수장절은 추수와 하나.. 2025. 3. 9. 2025년 3월 9일 주일가정예배 1. 성경본문을 찾아놓습니다. (출애굽기 34장 18-35절)2. 인도자와 대표기도자를 정합니다.3. 이웃을 위해서 찬양은 조용히 부릅니다. 모르는 찬양이면 가사를 보면서 잘 듣습니다.4. 부모님의 지도로 초등학교 성경공부를 온가족이 함께 합니다. 부모님의 지도로 자녀가 함께 읽으세요. 새성실교회 주일 오전 가정교회의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1.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리라"(요한복음 4장 24절)2. 자녀들은 부모님과 성경공부를 먼저 했지요? 아직 안했으면 성경공부를 먼저하겠습니다.3. 대표기도(가족 중 한 명) : 예배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우리 가정을 위해서 함께 기도합니다. 4. 찬양 : "아무것도 두려워 말라" (다같이) 5. 교독문 8.. 2025. 3. 9. [출애굽기35] 언약의 회복과 예배의 자리 2025. 3. 9. 양비론의 위험성과 갈멜산의 교훈 오늘날 우리는 여러 가지 갈등 상황에서 “양쪽 다 문제가 있다”며 대립을 회피하거나, “나는 어느 쪽도 지지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흔히 ‘양비론(兩非論)’이라 부르는데, 자칫 이것이 진리를 분명히 볼 수 있음에도 결단을 미루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경은 열왕기상 18장에서 벌어진 갈멜산 대결을 통해 양비론이 왜 위험한지 잘 보여 줍니다. 갈멜산 대결 당시, 이스라엘 백성은 바알을 숭배하는 아합 왕과 이세벨의 영향력, 그리고 조상 대대로 이어져 온 여호와 신앙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쪽이 참된 신인지 분명히 보여 주는 증거가 필요했지만, 백성들은 우유부단하게도 “어느 한쪽을 선택하겠다”고 나서지 못했습니다. .. 2025. 3. 3. 언약 2.0 (출 34:1-17) 서론. 언약의 갱신과 하나님의 은혜요즘 '2.0'이라는 표현은 새로운 버전, 업그레이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도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과 맺은 언약이 깨어졌을 때, 다시 언약을 갱신하시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출애굽기 34장에서 하나님께서는 금송아지 사건으로 인해 깨진 언약을 새롭게 하십니다. 이는 단순한 원상복구가 아니라, 이스라엘이 회개하고 순종하는 과정을 포함한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돌판을 직접 다듬어 오라고 명령하시며, 언약의 갱신 과정에 이스라엘의 책임과 참여를 요구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다듬어 만들라 내가 깨뜨린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출 34:1) 1. 언약의 갱신과 중재자의 역할첫 번째 .. 2025. 3. 2. 2025년 3월 2일 주일가정예배 1. 성경본문을 찾아놓습니다. (출애굽기 34장 1-17절)2. 인도자와 대표기도자를 정합니다.3. 이웃을 위해서 찬양은 조용히 부릅니다. 모르는 찬양이면 가사를 보면서 잘 듣습니다.4. 부모님의 지도로 초등학교 성경공부를 온가족이 함께 합니다. 부모님의 지도로 자녀가 함께 읽으세요. 새성실교회 주일 오전 가정교회의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1.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리라"(요한복음 4장 24절)2. 자녀들은 부모님과 성경공부를 먼저 했지요? 아직 안했으면 성경공부를 먼저하겠습니다.3. 대표기도(가족 중 한 명) : 예배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우리 가정을 위해서 함께 기도합니다. 4. 찬양 : "여기에 모인 우리(620)" (다같이) 5. 교독문.. 2025. 3. 2. [출애굽기34] 은혜2.0 (출34:1-17) 🧭 출애굽 이후 이스라엘의 삶에는 기적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순종하는 이스라엘에게 보이실 이적을 또 약속하셨습니다. 우리도 경험해야 하는 이적입니다. 2025. 3. 2. 출발(출애굽기 33:1-28) 많은 성도들이 믿음의 확신을 구원의 근거로 삼는 오류를 범합니다. 그러나 믿음과 믿음의 확신은 구별되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도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마 7:21)라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겪은 실수를 돌아보며 우리의 신앙을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1. 잘못된 믿음의 확신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구원하시고 인도하셨음을 경험하였습니다. 그러나 모세가 사라지자 불안에 빠졌고, 아론은 금송아지를 만들어 하나님이라고 선언하였습니다. 백성들은 이를 절대적으로 신뢰하며 잘못된 믿음의 확신을 가졌습니다. 결국, 그들의 행위는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리는 결과.. 2025. 2. 23. [출애굽기 33] 그 땅으로 올라가라(출 33:1-23) 🧭 애굽에서 가지고 나온 장신구를 떼어내야 언약의 땅 가나안에 하나님과 함께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믿음의 확신은 성도가 조심해야 하는 것입니다. 2025. 2. 23. 2025년 2월 23일 주일가정예배 1. 성경본문을 찾아놓습니다. (출애굽기 33장 1-23절)2. 인도자와 대표기도자를 정합니다.3. 이웃을 위해서 찬양은 조용히 부릅니다. 모르는 찬양이면 가사를 보면서 잘 듣습니다.4. 부모님의 지도로 초등학교 성경공부를 온가족이 함께 합니다. 부모님의 지도로 자녀가 함께 읽으세요. 새성실교회 주일 오전 가정교회의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1. 예배를 시작하겠습니다."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리라"(요한복음 4장 24절)2. 자녀들은 부모님과 성경공부를 먼저 했지요? 아직 안했으면 성경공부를 먼저하겠습니다.3. 대표기도(가족 중 한 명) : 예배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우리 가정을 위해서 함께 기도합니다. 4. 찬양 : "여기에 모인 우리(620)" (다같이) 5. 교독문.. 2025. 2. 23. 기도에 대하여... 기도(prayer)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 요소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삶의 태도와 신앙적 실천을 의미한다.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그의 저서 기독교 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와 여러 주석서에서 기도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칼빈에게 기도란 단순한 내면적 체험이 아니라, 성경을 통한 신앙의 실천과 하나님과의 연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칼빈의 기도 개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도의 근거인 성령의 사역, 둘째, 신자의 경건한 삶과 자기 부인의 원리, 셋째,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기도 실천이다. 1. 성령의 사역과 기도칼빈에게 있어서 기도의 출발점은 성령의 사역이다. 그는 "성령은 .. 2025. 2. 20. 반드시 단절해야 할 것 (출애굽기 32:15-35) 모세는 40일 동안 하나님과 함께하며 율법이 새겨진 돌판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산 아래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우상을 숭배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본 모세는 분노하여 돌판을 깨뜨렸고, 우상을 불태워 가루로 만든 뒤 백성들에게 마시게 했습니다.이 사건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언약이 깨진 심각한 죄였습니다.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우상을 숭배했던 이스라엘처럼, 우리도 종종 신앙과 세상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오늘 본문은 우리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키기 위해 무엇과 단절해야 하는지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1. 죄는 반드시 파괴되어야 합니다 (출 32:19-20)모세는 우상 숭배의 현장을 목격하자, 손에 들고 있던 돌판을 깨뜨립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언약이 백성들에 의해 파괴되었음을 .. 2025.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