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다15

니느웨의 재앙이 유다에게 의미하는 것 / 나훔 2:1-13 니느웨의 멸망은 정해진 것입니다. 유다의 회복도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니느웨와 같은가? 아니면 유다와 같은가? 이것이 문제입니다. 2020. 9. 28.
경고와 은혜 / 나훔 1:9-15 우리가 오랫동안 고민해서 찾아낸 방법이 혹시 여호와를 거슬리는 일은 아니지요? 내가 기댈 언덕이라고 찾은 방법이 혹시 여호와께서 멸망히시키려고 작정하신 곳은 아닌지요? 깨어서 여호와 하나님의 뜻에 예민해야 합니다. 2020. 9. 21.
나훔02. 니느웨와 유다에 대한 여호와의 계획 나훔02. 니느웨와 유다에 대한 여호와의 계획(나훔 1:9-15) 세상의 최대 강국 니느웨는 멸망의 길로, 약한 유다는 회복의 길로 갑니다. 결국 승리의 길은 세상의 상황이 아니라 하나님과 같은 편에 서는 것입니다. 옳고, 의로운 길에 조금 불편해도, 힘들어도 섭시다. 2018. 10. 28.
요시야01. 말씀으로 세워진 요시야의 나라 말씀으로 세워진 요시야의 나라 열왕기하 22장 하나님 나라를 이땅에서 누리기 위해서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정직해야 합니다. 요시야가 다스리던 유다는 하나님 앞에서 정직했던 나라입니다. 하나님 말씀 앞에서는 세상의 권력과 직책과 이해가 모두 쓸모 없었습니다. 우리의 가정과 교회와 삶의 모든 터전이 정직함으로 세워지길 바랍니다. 2018. 3. 11.
므낫세. 고난의 은혜. 역대하33장 므낫세. 고난의 은혜. 역대하 33장 므낫세는 성공한 아버지 히스기야의 뒤를 이어서 왕이 되었습니다. 모든 것이 갖추어졌던 왕은 하나님보다는 화려함을 따릅니다. 그래서 예배의 따분함 보다는 우상숭배의 자극을 따라갑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므낫세를 앗수르의 손에 포로가 되게 하시고, 그곳에서 모든 화려함을 잃어버린 후 여호와가 참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후 돌아와서 새로운 믿음의 삶을 살았습니다. 므낫세는 히스기야의 아들로 완벽하게 태어난 것 보다 오히려 앗수르의 고난이 그에게는 복이었답니다. 2018. 3. 4.
므낫세01.공과.고난의 은혜, 무감각의 저주 2018. 3. 3.
히스기야04.위대한 왕 히스기야의 실수 2018. 2. 22.
히스기야02. 회복 히스기야 두번째. 회복 히스기야는 위험한 국제정세를 앞에 두고도 우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기에 이릅니다. 유다를 지키는 것이 세상의 힘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에 있음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히스기야의 유월절을 회복하는 모습이 우리가 배워야 할 모습입니다. 2018. 2. 11.
아마샤. 은혜를 은혜로 누리지 못하면. 아마샤. 은혜를 은혜로 누리지 못하면 (역대하25장) 아마샤은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동했지만, 전심으로 하지 못했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상황과 처지에서는 잘 섬기는 것 같았지만, 철저하게 중심으로 하나님을 섬기는데는 실패했던 왕입니다. 그것은 자신이 갖게 된 은혜를 은혜로 우리지 못한 결과입니다. 2018. 1. 21.